Play Stop


메인으로
  • 공지사항
  • 오시는 길
  • 사이트맵
간호부 소개

혜민병원

GNB

  • 병원소개

    페이지로 이동
    • 인사말
    • 연혁
    • 미션과 비전
    • 공지사항
    • 채용공고
    • 병원둘러보기
    • ⁠진료협력센터
  • ⁠병원이용안내

    페이지로 이동
    • 진료절차 안내
    • 오시는 길
    • 주차장 이용안내
    • 층별안내도
    • 전화번호 안내
    • 입퇴원 안내
    • 간호간병 통합서비스
    • 병실생활 안내
    • 증명서 발급
    • 장례식장 안내
    • 비급여 진료비
  • 진료과소개

    페이지로 이동
    • 진료과·의료진
    • 진료시간표
  • 콜센터 상담신청

    페이지로 이동
    • 빠른 진료상담
    • 건강검진 전화예약
  • ⁠고객서비스

    페이지로 이동
    • 원무상담
    • 칭찬합니다
    • 고객의소리
    • 의료칼럼
    • 언론보도
  • ⁠건강증진센터

    페이지로 이동
    • 건강증진센터 소개
    • 검진프로그램 소개
    • 검진절차·유의사항
    • 센터 둘러보기
    • 검진양식 다운로드
  • 간호부 소개

  • 찾아오시는길
  • 증명서발급
  • 병원둘러보기
  • 병실생활안내
  • 전화번호안내
  • 온라인상담

⁠고객서비스


⁠고객서비스

  • 원무상담
  • 칭찬합니다
  • 고객의소리
  • 의료칼럼
  • 언론보도

병원정보안내

  • 대표번호

    02-2049-9000

    검진 예약 및 문의

    02-2049-9084
  • 외래진료시간

    • 월  요  일 08:30 ~ 17:30
    • 화   ~   금 08:30 ~ 17:00
    • 토  요  일 08:30 ~ 12:20
    • 점심시간 12:30 ~ 13:30
  • 건강증진센터 업무시간

    • 월  요  일 08:00 ~ 16:30
    • 화   ~   금 08:00 ~ 16:30
    • 토  요  일 08:00 ~ 12:20
    • 점심시간 12:30 ~ 13:30

의료칼럼

  • 홈
  • ⁠고객서비스
  • 의료칼럼

사라지지않는 피곤함 ”수면장애”

  • 작성자 : 관리자
  • 작성일 : 2021-02-15 08:47:28
  • 조회수 : 24

 



잠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아주 중요한 부분이며 하루 하루를 이끌어나갈 힘을 줍니다. 실제로 질 좋은 수면을 취하지 못하면 아무리 오랜 시간 침대에 있다고 하더라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 느낌이 들며 아이들 같은 경우에는 키가 자라지 않는 등 성장에 있어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수면장애는 이처럼 수면리듬이 흐트러져 있어서 잠자거나 깨어 있을 때 어려움을 겪는 상태를 포함하는 매우 폭넓은 개념으로, 반드시 개선이 필요한 항목입니다.

 

 


수면장애의 종류

수면장애는 보이는 증상에 따라 다양하게 나뉩니다. 첫째는 불면증입니다. 잠들기가 힘들거나 잠은 들지만 자주 깨는 경우, 새벽에 너무 일찍 깨서 힘든 경우 등을 포함합니다. 둘째는 기면증입니다. 야간에 6시간 이상 충분한 수면을 취함에도 낮에 심한 졸음을 호소하는 과다수면증입니다. 세번째는 하지불안증후군입니다. 잠들 무렵에 다리나 종아리 부근에 느껴지는, 말로 표현하기 힘든 불편감으로 인해 잠을 청하기가 어렵고, 그 결과 수면 부족을 초래합니다. 네번째는 코골이나 그로 인한 수면무호흡증입니다. 코골이를 가진 사람의 75퍼센트는 수면 중에 호흡이 멈춘다는 통계가 있습니다.

 

 

 


 

 

 

수면장애의 원인

수면장애의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평소 수면리듬이 약한 사람이 심리적인 스트레스를 겪게 되면서 더욱 심하게 악화되고 잘못된 습관을 가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후에 심리적 문제가 줄어들어도 습관은 남아 있게 되어 지속시키며 만성으로 발전하기도 합니다.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및 기타 정신질환이 있는 케이스도 흔히 나타나곤 합니다. 하지불안증후군 같은 경우는 50대 이후의 발병률이 높습니다. 그러나 최근 보고에서는 7세 이전의 아동에게서도 나타난다고 합니다. 대개 성장통으로 알고 있는 소아들의 일부는 성장통이 아니라는 보고도 있습니다. 더불어 임신 중 철분이 부족하면 위와 같은 현상이 발생합니다.

 

 

 


 

 

 

수면장애의 치료법

수면장애의 치료법에는 수면위생, 인지행동치료, 약물법이 있는데 세 가지를 혼용하는 것이 증상 개선에 효과적입니다. 1달 이내의 급성기 불면증은 수면제를 복용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심리적인 스트레스가 심하여 잠들기가 힘이 든 경우에는 1~2주 정도 의료진의 처방을 받아 지시에 잘 따라준다면 좋은 결과가 도출될 수 있습니다. 또한 복용 도중에도 수면위생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면위생이란 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정해진 시간에 일어나는 것입니다. 정해진 시간에 일어나는 것이 가장 중요한 부분이며 아침에 잠에서 깨면 바로 일어나도록 해야 합니다. 특히 일어나서 밝은 빛을 쬐면 잠을 깨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수면장애를 예방하려면?

 

기본 중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규칙적인 식사와 규칙적인 기상이 가장 중요시 되겠습니다. 주말이라고 하여서 늦잠을 자지 않고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가적으로 불규칙한 낮잠을 지양하며 자기 전 과식이나 술, 담배, 커피, 티비 시청, 스마트폰을 쳐다보다가 자는 행위 등 자극인자를 회피해야 합니다. 낮에 적절한 운동을 하면 숙면을 취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고 자기 전, 따뜻한 물로 목욕을 하는 것도 깊은 잠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자기 전 이완을 위하여 명상을 해주는 것이나 지루한 책읽기, 시계 감추기도 개선하는 데 힘을 보태줄 수 있습니다.




 

다음글

코로나19와 혼동될 수 있는 ”축농증”

이전글

역류성 식도염 조기치료 중요성!


  • 병원소개
  • 개인정보처리방침
  • 환자의 권리와 의무
  • 비급여 진료비
  • 인터넷증명서 발급 인터넷증명서 발급
  • 사이트맵

Hyemin Social Media

  • 네이버 블로그로 이동
  • 인스타그램으로 이동
  • 페이스북으로 이동

혜민병원

  • 주소 : [05056] 서울특별시 광진구 자양로 85
  • 대표자 : 김상태
  • 사업자등록번호 : 206-28-84484
  • 대표전화

    02-2049-9000전화걸기
  • 건강증진센터

    02-2049-9084전화걸기
  • 응급실

    02-2049-9119전화걸기

COPYRIGHT(C) 2019 HYEMIN GENERAL HOSPITAL. ALL RIGHTS RESERVED.

직원전용 상단으로